MATCH() 함수의 3번째 인수는 찾고자 하는 값이 배열 내에서 어떻게 비교될지를 결정하는 역할을 합니다. `match_type`은 0, 1, -1 중 하나를 설정할 수 있으며, 이 값에 따라 함수의 동작 방식이 달라집니다.
MATCH() 함수의 3번째 인수 개요
`match_type` 인수는 필수가 아니며 기본값은 1입니다. 각 옵션에 따른 동작 방식은 다음과 같습니다.
- 0: 배열에서 정확히 일치하는 값을 찾습니다.
- 1 (기본값): 정렬된 배열에서 찾고자 하는 값보다 작거나 같은 최대 값을 반환합니다.
- -1: 내림차순 정렬된 배열에서 찾고자 하는 값보다 크거나 같은 최소 값을 반환합니다.
이제 각 `match_type` 값에 따른 예제와 설명을 확인해 보겠습니다.
정확히 일치하는 값 찾기 (match_type: 0)
`match_type`을 0으로 설정하면 배열에서 정확히 일치하는 값을 찾습니다. 정확히 일치하는 값이 없으면 #N/A 오류가 반환됩니다.
예제:
데이터 범위 A1:A5에 "사과", "바나나", "포도", "오렌지", "키위"가 있다고 가정합니다.
=MATCH("바나나", A1:A5, 0)는 "바나나"가 배열에서 2번째 위치에 있으므로 2를 반환합니다.
정확히 일치하는 값을 찾을 때 `match_type` 0을 사용하세요.
오류를 방지하기 위해 IFERROR() 함수를 조합하면 더욱 안정적인 수식을 만들 수 있습니다.
작거나 같은 값 찾기 (match_type: 1)
`match_type`이 1이면 배열이 오름차순으로 정렬되어 있어야 합니다.
예제:
점수가 오름차순으로 정렬된 B1:B5에 10, 20, 30, 40, 50이 있다고 가정합니다.
=MATCH(25, B1:B5, 1)은 25를 범위에서 찾는데 "작거나 같은 값 중 가장 큰 값"으로 20을 선택하게 되며, 범위에서 20의 위치는 두번째이므로, 2를 반환합니다.
배열이 오름차순으로 정렬되지 않으면 잘못된 값이 반환되거나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데이터 정렬 상태를 반드시 확인하세요.
크거나 같은 값 찾기 (match_type: -1)
`match_type`을 -1로 설정하면 배열이 내림차순으로 정렬되어 있어야 합니다.
예제:
점수가 내림차순으로 정렬된 C1:C5에 90, 80, 70, 60, 50이 있다고 가정합니다.
=MATCH(75, C1:C5, -1)은 75보다 크거나 같은 값 중 가장 작은 값은 80이므로, 범위 안에서 80의 위치는 두번째이므로 2를 반환합니다.
배열이 내림차순으로 정렬되지 않으면 잘못된 값이 반환되거나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match_type` -1을 사용할 때는 반드시 내림차순으로 정렬된 데이터에서만 사용해야 합니다.
match_type 설정 시 주의할 점
1. `match_type`이 0일 때는 배열 정렬 여부와 상관없이 정확히 일치하는 값을 찾습니다.
2. `match_type`이 1일 때 배열은 오름차순으로 정렬되어 있어야 합니다.
3. `match_type`이 -1일 때 배열은 내림차순으로 정렬되어 있어야 합니다.
4. 정렬된 데이터가 아닌 경우 오류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정렬 상태를 항상 확인하세요.
5. 검색 값이 배열의 첫 번째 값보다 작거나 크다면 MATCH() 함수는 #N/A 오류를 반환합니다.
FAQ (자주 묻는 질문)
1. `match_type`을 생략하면 기본값은 무엇인가요?
기본값은 1이며, 배열을 오름차순으로 정렬해야 합니다.
2. `match_type` 0을 사용할 때 오류가 발생하면?
찾는 값이 배열에 없거나 철자가 다르면 #N/A 오류가 발생합니다.
3. `match_type` -1을 사용할 때의 주의사항은?
배열은 반드시 내림차순으로 정렬되어 있어야 합니다.
'디지털 SKILL'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구글시트를 사용한 업무자동화 : [패스트캠퍼스] 클라우드 컴퓨팅 강의 학습후기 (1) | 2025.01.30 |
---|---|
엑셀 "빈셀 찾기" 기능 사용법 (0) | 2025.01.13 |
[패스트캠퍼스] ChatGPT로 10분만에 일잘러 되기 : 기초부터 실무까지 완전 정복 후기 (0) | 2024.06.12 |
OFFSET, INDIRECT 함수 (0) | 2023.08.01 |
사용자지정 숫자 표시형식 (0) | 2023.08.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