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디지털 SKILL

(24)
SUMIF : 조건별 더하기 함수와 조건식 만드는 방법 1. SUMIF 함수의 기능과 조건 쓰는 법 SUMIF는 조건에 맞는 숫자만 더할 때 사용합니다. SUMIF 함수에서 조건문을 사용하는 방식은 IF 함수에서와 다르기 때문에 사용 사례를 익혀두어야 합니다. SUMIF에서 조건을 표현하는 방법은 SUMIFS, COUNTIF 등 "~IF " 부류의 함수에도 그대로 사용되니 잘 익혀두어야 합니다. SUMIF() 함수에서 조건식을 만들 때 기억해야할 사항은 조건식은 쌍따옴표 안에 집어 넣는다는 점입니다. 10 보다 크다는 조건은 "> 10" 이렇게 만듭니다. SUMIF 함수의 조건식은 IF 함수에서의 조건식과 형태가 다릅니다. "A1셀의 값이 100보다 큰가?" 라는 조건식을 만들 때, IF 함수에서는 " A1 > 100 " 와 같은 같은 모양으로 만들지만, S..
SUM, AVERAGE : 더하기와 평균 구하기 함수 1. SUM SUM은 COUNT와 함께 모든 함수 공부의 시작점과 같습니다. SUM이 무슨 뜻인지 모르는 사람은 없을 것입니다. 하지만, 인수를 나열하는 방식들은 확인하고 넘어가시기 바랍니다. SUM(1, 2, 3, 4, 5) 이런 식으로 상수를 나열해도 되고, SUM(A1, A2, A3, A4, A5) 이런 식으로 셀주소를 나열해도 되고, SUM(A1:A5) 과 같이 범위를 입력해도 됩니다. 떨어져 있는 범위들을 나열해도 됩니다. SUM(A1:A5, D1:D5, F2:F4) 물론, SUM(전체 범위)를 해도 됩니다. SUM(A1:F5) 처럼. 2. AVERAGE 산술평균을 구하는 함수입니다. 위와 같은 데이터에 대해, AVERAGE 함수를 사용해서 평균값을 바로 구할 수 있습니다. A1:A5 에 있는 ..
COUNT 함수군 COUNT 함수군을 정리합시다. COUNT, COUNTA, COUNTBLANK, COUNTIF, COUNTIFS 5개는 필수입니다. 각 용도를 구분해서 익혀야합니다. 이렇게 외우세요.. 숫자 갯수 COUNT 빈칸이 아닌 갯수 COUNTA 빈칸 갯수 COUNTBLANK 조건에 맞는 갯수 COUNTIF 조건들에 맞는 갯수 COUNTIFS 1. COUNT() 숫자가 들어있는 셀 갯수만 셉니다. 주의할 점은 숫자 문자열이 아니라 숫자, 즉, TYPE이 숫자인 값만 센다는 점입니다. 1) 숫자 3개이므로, 3 2) 숫자 0개이므로, 0 2. COUNTA() 숫자값과 문자값의 개수를 셉니다. COUNT와 비교해 보면 갯수가 다릅니다. 1) 숫자가 3개, 문자열 1개이므로, 4 2) 문자열 3개이므로, 3 3. CO..
INDEX MATCH : 엑셀 찾아오기 함수 INDEX 함수와 MATCH 함수는 왜 같이 언급될까요? 같이 사용해야 그 유명한 VLOOKUP 기능을 구현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VLOOKUP 대신 INDEX MATCHF를 사용하는 이유는 VLOOKUP이 못하는 것도 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1. INDEX 함수에서, "행번호", "열번호" 의미 INDEX 함수는 기본적으로 지정한 범위 안에서의 "행번호", "열번호"를 인수로 받아서, 그 위치의 값을 가져오는 함수입니다. "행번호", "열번호"는 "행 index, 열 index 라고 해도됩니다. INDEX()의 인수는 아래와 같습니다. INDEX( 범위, 행번호, 열번호) 여기서, 행번호, 열번호는 "범위"에 종속된 번호임을 분명히 아셔야 합니다. 아래와 같이 데이터가 있다고 합시다. 빨간 테두리 ..
XLOOKUP - 찾아오기 종합 함수 XLOOKUP() 함수는 VLOOKUP, HLOOKUP, LOOKUP 함수의 기능을 다 할 수 있습니다. 1. XLOOKUP 기본 형태는 LOOKUP 과 같다 XLOOKUP 함수의 프로토타입은 XLOOKUP( lookup_value, lookup_array, return_array, [if_not_found], [match_mode], [search_mode]) 입니다. 옵션 인수들을 제외하면, XLOOKUP 함수는 LOOKUP 함수와 같습니다. 아래 데이터에 대하여, "홍길동4"의 "몸무게"값을 가져오는 식을 만들어봅시다. =XLOOKUP( "홍길동4", $A$2:$A$7, $C$2:$C$7) 이렇게 하면 됩니다. 그런데, LOOKUP()으로 표현해도 인수가 똑같이 들어갑니다. =LOOKUP( "홍길동..
LOOKUP - 엑셀 찾기 함수 LOOKUP() 함수는 뭘까요? 엑셀에서 가장 많이 사용하는 찾기 함수는 VLOOKUP입니다. LOOKUP 함수는 VLOOKUP / HLOOKUP 사용법과 비슷한 듯 하면서도 다르기 때문에 헷갈립니다. LOOKUP 함수에서 사용하는 용어부터 짚고 넘어가며 설명하겠습니다. 1. LOOKUP 함수의 인수는 "1차원 범위" LOOKUP 함수의 인수 사용 팁을 보면 3가지 형태입니다. 1) LOOKUP( lookup_value, lookup_vector) 2) LOOKUP( lookup_value, lookup_vector, result_vector) 3) LOOKUP( lookup_value, array) "lookup_vector"와 "array" , 이 2개가 어려울 것입니다. 행방향이든, 열방향이든 값이..
VLOOKUP, HLOOKUP 조견표에서 값 찾아오기 VLOOKUP은 대표적인 찾기 함수입니다. 세로방향으로 값을 찾아서, 같은 행에서 컬럼index에 있는 값을 반환하는 함수입니다. HLOOKUP은 값을 검색하는 방향이 VLOOKUP과 반대인 것을 제외하면 사용방법이 같은 함수입니다. 하지만, HLOOKUP 함수 보다는 VLOOKUP 함수의 사용 빈도가 훨씬 많습니다. 그 이유는 VLOOKUP을 적용할 데이터의 형태가 사람들이 가장 일반적으로 정리하는 데이터 형태이기 때문입니다. 1. VLOOKUP, HLOOKUP 함수를 적용할 데이터 형태 VLOOKUP, HLOOKUP, 이 함수들의 기능을 설명하기 전에, 데이터 형태가 어떠해야 하는지 확인하는 것은 중요합니다. 학생별로 키, 몸무게, 학번을 정리한 데이터가 있다고 합시다. 의미상, 학생이름이 검색 ke..
ROW, COLUMN : 순번 매기기 함수 1. ROW, COLUMN 함수 개념 =ROW() 인수없이 이렇게만 사용해도, 현재 셀의 행번호를 돌려주는 함수입니다. 마찬가지로, COLUMN()은 현재 셀의 열번호를 돌려주는 함수입니다. 가장 단순한 예를 들겠습니다. A1, B1, C1, D1 셀에 ROW함수를 사용하면, 모두 1입니다. 왜냐하면, 모두 같은 행에 있는 셀이기 때문입니다. A5, A6, A7, A8 셀에 ROW 함수를 사용한다면, 각각 5, 6, 7, 8 입니다. COLUMN 함수는 열번호를 알려줍니다. A1, B1, C1, D1 셀에 COLUMN 함수를 사용하면, 각각 1, 2, 3, 4 를 돌려줍니다. A1, A2, A3, A4 셀의 열번호는 똑같이 엑셀 첫번째이기 때문에, 모두 1입니다. 2. 사용 유형 3가지 ROW(), CO..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