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

(69)
QUOTIENT, MOD .. : 엑셀 수학함수와 변환함수 이 함수들은 수학함수와 변환함수에 속하는 함수로서 숫자 데이터를 계산하거나, 숫자 type으로 변환할 때 자주 사용하는 필수 함수들입니다. QUOTIENT, MOD 는 잘 사용 안할 것 같지만, 매우 유용한 기본 함수들입니다. POWER, SQRT, ABS 는 거듭제곱, 제곱근, 절대값 구하는 함수이므로, 수학 수식에는 감초같은 함수입니다. 꼭 연습해서 익히시기 바랍니다. 아래 예제를 하나씩 실습해보면 쉽게 익힐 수 있습니다. 1. QUOIENT 함수 나눗셈 몫을 구하는 함수입니다. Quotient 함수가 반환하는 몫은 정수라는 점도 주의해야 합니다. 아래 수식을 만족하는 정수 q가 QUOTIENT()의 반환값입니다. a = b * q + r 단, r
ROUND CEILING FLOOR : 엑셀 숫자 끝자리 설정 함수들 엑셀에서 ROUND 부류 함수들은 숫자의 끝자리 처리를 어떻게 할 것인가를 결정합니다. 어느 자리수에서 반올림, 올림, 버림, 내림 할 것인지를 결정합니다.자리수는 ROUND, ROUNDUP, ROUNDDOWN, TRUNC 함수를 사용할 때 입력해야 합니다.CEILING, FLOOR, MROUND 함수는 주어진 숫자를 올리거나 내림을 하고 싶은데 어떤 수의 배수 중에  선택하는 함수입니다.다소 헷갈릴 수 있으므로 꼭 예제를 통해 익히시기 바랍니다.1.  ROUND를 알려면,  자리수부터 이해해야 합니다함수 인수로 입력하는 자리수부터 알아야 합니다. 예를 보면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것입니다. ROUND()는 반올림을 하는데,   자리수 인수에 따라 결정됩니다. ROUND( 123.45,  1 ) 에서, 인..
1을 count 한 것은 1을 sum 한 것과 같다 엑셀 수식에서 갯수를 세어야 할 때, SUM 함수를 사용하는 경우를 종종 봅니다. 쉽지만 평소에 잘 잊어버리는 노하우라고 할 수 있습니다.1.  1과 0만 있다면, SUM 하라범위에 1 또는 0 만 있는 경우에, 1의 개수를 세려면,COUNTIF(범위, 1) 하면 됩니다. 그런데, SUM(범위) 를 해도 같은 결과가 나옵니다.이 사실은 매우 유용합니다. 값이 1과 0 뿐이라면, 1의 갯수는 1을 모두 더하기 한 것과 같습니다. SUM()이 더 유용하다고 말하는 이유는, 1) SUM()이 COUNTIF()보다 단순하다는 점, 2) SUM()은 COUNTIF() 보다 훨씬 익숙하다는 점 때문입니다. A열에 1이 3개 있다면,  COUNTIF(범위, 1) = SUM(범위) 입니다. COUNTIF(A1:A6, ..
IF IFS IFERROR : 엑셀 조건 함수 1. IF 엑셀 조건 함수 기본 조건식의 판단 결과에 따라 다른 값을 반환할 수 있는 함수입니다. IF ( 조건문, TRUE 일 때 반환값, FALSE 일 때 반환값) 이것이 IF 함수의 기본 형태입니다. 예를 들면, IF ( A1 > 50, "크다", "작다") 이런 것입니다. A1 셀에 있는 값을 50 보다 큰지 작은지 판단하는 조건식을 만들고, 그 결과에 따라, 다른 값을 반환하게 만들 수 있습니다. IF 함수의 "조건식" 결과는 TRUE / FALSE 중에 1개라는 점을 기억하세요. 90점 이상이면 "O", 아니면 "X" 를 반환하는 조건은 조건식 1개면 충분합니다. 아래와 같이. 2. 중첩 IF 함수 IF 함수의 인수 위치에, 반복해서 IF 함수를 사용할 때, 중첩 IF 라고 합니다. "TRUE..
SUMIFS : 복수 조건별 더하기 함수 SUMIFS는 여러개의 조건을 만족하는 값을 찾아서 더할 때 사용합니다. 1. SUMIFS 와 SUMIF 의 다른점 SUMIF는 조건을 1개만 지정할 수 있고, SUMIFS에는 복수 개의 조건을 지정할 수 있습니다. 또 다른 중요한 차이점은 "합계범위" 인수의 위치가 반대라는 점입니다. 아래 두개의 인수 목록에서 "합계범위"의 위치를 비교해 보세요. (1) SUMIF( 조건범위, 조건, [합계범위] ) (2) SUMIFS( 합계범위, 조건범위1, 조건1, 조건범위2, 조건2, ... ) 차이점1) SUMIF는 조건범위가 먼저 나오고, SUMIFS에서는 합계범위가 먼저 나온다. 헷갈릴 수도 있지만, SUMIFS에서는, (조건범위, 조건) 쌍은 계속 연결될 수 있으나 "합계범위"는 1개 뿐이므로 이 형태가 ..
SUMIF : 조건별 더하기 함수와 조건식 만드는 방법 1. SUMIF 함수의 기능과 조건 쓰는 법 SUMIF는 조건에 맞는 숫자만 더할 때 사용합니다. SUMIF 함수에서 조건문을 사용하는 방식은 IF 함수에서와 다르기 때문에 사용 사례를 익혀두어야 합니다. SUMIF에서 조건을 표현하는 방법은 SUMIFS, COUNTIF 등 "~IF " 부류의 함수에도 그대로 사용되니 잘 익혀두어야 합니다. SUMIF() 함수에서 조건식을 만들 때 기억해야할 사항은 조건식은 쌍따옴표 안에 집어 넣는다는 점입니다. 10 보다 크다는 조건은 "> 10" 이렇게 만듭니다. SUMIF 함수의 조건식은 IF 함수에서의 조건식과 형태가 다릅니다. "A1셀의 값이 100보다 큰가?" 라는 조건식을 만들 때, IF 함수에서는 " A1 > 100 " 와 같은 같은 모양으로 만들지만, S..
SUM, AVERAGE : 더하기와 평균 구하기 함수 1. SUM SUM은 COUNT와 함께 모든 함수 공부의 시작점과 같습니다. SUM이 무슨 뜻인지 모르는 사람은 없을 것입니다. 하지만, 인수를 나열하는 방식들은 확인하고 넘어가시기 바랍니다. SUM(1, 2, 3, 4, 5) 이런 식으로 상수를 나열해도 되고, SUM(A1, A2, A3, A4, A5) 이런 식으로 셀주소를 나열해도 되고, SUM(A1:A5) 과 같이 범위를 입력해도 됩니다. 떨어져 있는 범위들을 나열해도 됩니다. SUM(A1:A5, D1:D5, F2:F4) 물론, SUM(전체 범위)를 해도 됩니다. SUM(A1:F5) 처럼. 2. AVERAGE 산술평균을 구하는 함수입니다. 위와 같은 데이터에 대해, AVERAGE 함수를 사용해서 평균값을 바로 구할 수 있습니다. A1:A5 에 있는 ..
COUNT 함수군 COUNT 함수군을 정리합시다. COUNT, COUNTA, COUNTBLANK, COUNTIF, COUNTIFS 5개는 필수입니다. 각 용도를 구분해서 익혀야합니다. 이렇게 외우세요.. 숫자 갯수 COUNT 빈칸이 아닌 갯수 COUNTA 빈칸 갯수 COUNTBLANK 조건에 맞는 갯수 COUNTIF 조건들에 맞는 갯수 COUNTIFS 1. COUNT() 숫자가 들어있는 셀 갯수만 셉니다. 주의할 점은 숫자 문자열이 아니라 숫자, 즉, TYPE이 숫자인 값만 센다는 점입니다. 1) 숫자 3개이므로, 3 2) 숫자 0개이므로, 0 2. COUNTA() 숫자값과 문자값의 개수를 셉니다. COUNT와 비교해 보면 갯수가 다릅니다. 1) 숫자가 3개, 문자열 1개이므로, 4 2) 문자열 3개이므로, 3 3. CO..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