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lookup

(3)
INDEX MATCH : 엑셀 찾아오기 함수 INDEX 함수와 MATCH 함수는 왜 같이 언급될까요? 같이 사용해야 그 유명한 VLOOKUP 기능을 구현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VLOOKUP 대신 INDEX MATCHF를 사용하는 이유는 VLOOKUP이 못하는 것도 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1. INDEX 함수에서, "행번호", "열번호" 의미 INDEX 함수는 기본적으로 지정한 범위 안에서의 "행번호", "열번호"를 인수로 받아서, 그 위치의 값을 가져오는 함수입니다. "행번호", "열번호"는 "행 index, 열 index 라고 해도됩니다. INDEX()의 인수는 아래와 같습니다. INDEX( 범위, 행번호, 열번호) 여기서, 행번호, 열번호는 "범위"에 종속된 번호임을 분명히 아셔야 합니다. 아래와 같이 데이터가 있다고 합시다. 빨간 테두리 ..
XLOOKUP - 찾아오기 종합 함수 XLOOKUP() 함수는 VLOOKUP, HLOOKUP, LOOKUP 함수의 기능을 다 할 수 있습니다. 1. XLOOKUP 기본 형태는 LOOKUP 과 같다 XLOOKUP 함수의 프로토타입은 XLOOKUP( lookup_value, lookup_array, return_array, [if_not_found], [match_mode], [search_mode]) 입니다. 옵션 인수들을 제외하면, XLOOKUP 함수는 LOOKUP 함수와 같습니다. 아래 데이터에 대하여, "홍길동4"의 "몸무게"값을 가져오는 식을 만들어봅시다. =XLOOKUP( "홍길동4", $A$2:$A$7, $C$2:$C$7) 이렇게 하면 됩니다. 그런데, LOOKUP()으로 표현해도 인수가 똑같이 들어갑니다. =LOOKUP( "홍길동..
LOOKUP - 엑셀 찾기 함수 LOOKUP() 함수는 뭘까요? 엑셀에서 가장 많이 사용하는 찾기 함수는 VLOOKUP입니다. LOOKUP 함수는 VLOOKUP / HLOOKUP 사용법과 비슷한 듯 하면서도 다르기 때문에 헷갈립니다. LOOKUP 함수에서 사용하는 용어부터 짚고 넘어가며 설명하겠습니다. 1. LOOKUP 함수의 인수는 "1차원 범위" LOOKUP 함수의 인수 사용 팁을 보면 3가지 형태입니다. 1) LOOKUP( lookup_value, lookup_vector) 2) LOOKUP( lookup_value, lookup_vector, result_vector) 3) LOOKUP( lookup_value, array) "lookup_vector"와 "array" , 이 2개가 어려울 것입니다. 행방향이든, 열방향이든 값이..

반응형